github(깃허브) repository(레파지토리, 리포지토리) 만들기

2023. 11. 23. 22:36Python/Python 환경설정

728x90
반응형

 

 

 

github(깃허브)는 깃을 저장하는 곳으로 깃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입니다. 

개발하시는 분들은 깃허브에 개발한 코딩을 공유하거나

어디서든 편하게 개발하고 있는 코딩을 업로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셋팅을 해두곤 합니다.

 

github(깃허브) repository(레파지토리, 리포지토리)를 만들면

visual studio code(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등의 개발 툴에서 만들어둔 코딩을 저장하고 작업할 수 있게 하며

로컬인 메인 컴퓨터와 세컨 컴퓨터 또는 리눅스 등 다양한 환경에 주고 받을 수 있게 합니다.

 


 

github(깃허브) repository(레파지토리, 리포지토리) 만드는 방법

 

 

1. 깃허브에 가입을 합니다.

아래 깃허브 사이트에 가서 가입을 합니다. 오른쪽 상단 sign up을 눌러 가입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영어로 되어 있어서 어려운 느낌이지만 생각보다 복잡하진 않습니다.

메일 주소를 아이디로 사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메일을 활용합니다.

 

https://github.com/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

github.com

 

 

 

 

2. 깃허브에 가입 후 대시보드에 갑니다.

대시보드에 가시면 레파지토리를 만드는 부분이 여러군데 있습니다.

 

- 왼쪽 상단에 Top Repositories 옆에 New 버튼

 

- 화면 가운데 Start writing code 칸 아래에 Start a new repository

 

- 화면 오른쪽 상단에 검색 창 옆에 +▼ 눌러서 New repository

 

보통 화면 오른쪽 상단에 검색 창 옆에 +▼ 눌러서 새로운 레파지토리를 만듭니다.

세번째 방법으로 새로운 레파지토리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3. 오른쪽 상단에 검색 창 옆에 +▼ 눌러서 New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

 

 

 

 

4. Create a new repository 창이 켜지면 아래 빈칸을 작성합니다.

 

 

Repository name* 에 레파지토리 이름을 작성합니다. 한글, 영어 다양하게 사용가능합니다.

Description에는 레파지토리의 간단한 설명을 기재합니다.

 

 

레파지토리를 공개 또는 비공개로 사용할지 public과 private으로 선택합니다.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dd a README file

리드 미 파일을 추가할지 체크합니다.

리드 미 파일은 레파지토리 파일 밑에 뜨는 설명란으로 주요 공지나 코드 사용 방법 등을 기재해 놓은 부분입니다.

 

Add .gitignore

레파지토리 내에서 주로 사용할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합니다. 

그 이유는 로컬 컴퓨터의 정보나 빌드 정보 등 레파지토리(저장소)내에 올라가지 말아야 하는 부분을 지정하는 것으로

레파지토리내에 주로 업로드할 언어를 지정해두면 해당 언어와 관련된 파일만 업로드하게 되어

불필요한 내용이나 업로드 되어서는 안되는 파일이 commit(커밋) 및 push(푸시)되지 않도록 셋팅해줍니다.

 

Choose a license

라이센스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설정이 필요한 경우 메뉴에서 선택하여 지정합니다.

 

 

5.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하면 레파지토리가 만들어집니다.

 

 

만들어진 레파지토리에는 생성시 설정했던 레파지토리 옵션에 따라 .gitignore 파일과 README.md 파일이 생성됩니다.

728x90
반응형